인공지능/컴퓨터 비전 3

[컴퓨터 비전] 4 영역 연산

화소 입장에서 바라본 영상 처리 연산이란 화소가 새로운 값을 받는 과정입니다. 새로운 값을 어디에서 받느냐에 따라 점 연산, 영역 연산, 기하 연산의 세 종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점 연산은 자기 자신으로부터 값을 받고, 영역 연산은 이웃 화소의 값을 보고 새로운 값을 결정합니다. 기하 연산에서는 기하학적 변환에 따라 다른 곳으로부터 값을 받습니다. 컨볼루션(convolution) 컨볼루션은 입력 영상의 각 화소에 필터를 적용해 곱의 합을 구하는 연산입니다. 필터를 입력 영상의 1, 2, 3, ..., 8 위치에 차례로 씌우고 곱의 합을 구해 출력 영상에 씌웁니다. 출력 영상에 씌우는 이유는 - 연상 도중 본래 화소 값이 바뀌면 다음 화소 처리를 할 때 오류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a) 그림은 위치 ..

[컴퓨터 비전] 1 영상의 형태

영상 획득과 표현 우리가 일상에서 직접 영상이나 이미지를 얻을려면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카메라는 물체에서 반사된 빛을 작은 구멍에 통과시켜, 뒷면에 있는 영상 평면(image plane)에 맺힙니다. 영상 평면은 생물의 눈일 경우 망막, 필름 카메라일 경우 필름,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CCD 센서가 됩니다. 아날로그(빛) 신호를 받은 CCD 센서는 디지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샘플링(sampling)과 양자화(quanizaion)을 수행합니다. 샘플링은 2차원 영상 공간을 가로 N개 세로 방향으로 M개 구간으로 나눕니다. 이렇게 형성된 한 점을 화소(pixel) 라 하고, M x N을 영상의 크기, 또는 해상도(resolution) 라 합니다. 양자화는 화소의 명암을 L개 구간으로 나눕니다. 보통..

[컴퓨터 비전] 3 점 연산

화소 입장에서 바라본 영상 처리 연산이란 화소가 새로운 값을 받는 과정입니다. 새로운 값을 어디에서 받느냐에 따라 점 연산, 영역 연산, 기하 연산의 세 종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점 연산은 자기 자신으로부터 값을 받고, 영역 연산은 이웃 화소의 값을 보고 새로운 값을 결정합니다. 기하 연산에서는 기하학적 변환에 따라 다른 곳으로부터 값을 받습니다. 앞서 공부한 오츄 알고리즘(이진화)은 점 연산에 속합니다. 오츄 알고리즘 오츄 알고리즘 은 0 화소의 분산과 1 화소의 분산을 더하여나온 t 중가장 낮은 값의 t를임곗값으로 사용해 이진화 합니다. 감마 조절 인간의 눈은 빛의 밝기 변화에 비선형적으로 반응합니다. 그 예로 명암 10을 20으로 올렸을 때와 120을 130으로 올렸을 때는 같은 양만큼 늘었지만..